[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사진)의 공식 직책이 이번 제8차 당대회를 계기로 잇달아 낮아져 주목된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김여정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당 제1부부장이었으나 1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대남 비난 담화를 발표하면서 '당중앙위원회 부부장' 직함을 사용했다.
지난 11일 8차 당대회 당 지도기관 선거에서는 정치국 후보위원 자리를 내주고 당중앙위 위원으로 물러났다. 당중앙위 위원은 당내 주요 전문부서 부부장에게 주로 부여되는 직위다.
![]() |
직책상으로만 보면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임에도 당내 공식적인 서열은 더 낮아진 것이다.
김여정은 12일 김 위원장이 새로 구성된 당 중앙 지도기관 성원들과 함께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할 때도 네 번째 줄로 밀려났다. 김여정 옆에서 늘 함께 다니던 같은 직급의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이번 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 및 조직비서로 선출돼 서열 3위로 초고속 승진한 것과도 비교된다.
김여정은 지난해 당내 서열 1위 부서인 조직지도부의 제1부부장을 꿰찬 후 대미·대남 메시지를 직접 던지곤 해 이번 당대회를 통해서도 당내 공식 직위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빗나간 것이다.
그러나 김여정이 최고지도자의 여동생이자 김정은 집권 이후 국정 전반을 보좌하고 함께 협의하며 오른팔 역할을 해온 만큼 직급이 낮아졌다고 정치정 위상이 덩달아 추락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김여정이 당대회 기간에 올해 첫 담화를 발표하고 북측 열병식을 정밀추적했다는 남측 합동참모본부를 향해 "해괴한 짓"이라며 거칠게 비난한 것은 여전히 대남 정책 전반을 관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는 지난해 여러 번 대남 담화를 통해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남북 간 통신선을 단절하고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이르기까지, 대남 압박 공세를 사실상 선두지휘했다.
또 지난해 7월 당시 제기됐던 연내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일축하는 담화를 직접 내고 미국 독립절 기념행사가 담긴 DVD를 요청하는 등 대미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더욱이 북한이 공개한 당대회 폐막식 사진에서 김여정은 당 부부장임에도 여전히 주석단의 2열 자리를 고수해 정치적 위상을 과시했다. 2열은 당 부부장 직책만으로 앉을 수 있는 위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데도 김여정의 공식 직위가 하락한 것은 이번 당대회를 통해 대미·대남 라인의 지위가 전반적으로 약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유튜브 등장 "배고파, 추워" 외친 유통업계 총수…왜?
제약바이오업계, 10조원 中 의약품 시장 공략 가속도
허풍과 미완으로 막내린 트럼프 국경장벽… 바이든 "더 이상 추진 않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