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아시아타임즈=윤진석 기자] 일본에서 내년 개최될 예정인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외국인 검사 체제와 의료비가 새로운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달부터 외국인 입국제한을 완화했다. 대신 일본 후생노동성은 국제공항에서 외국인 대상 검역을 하루 2만건까지 가능하도록 시스템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엄청난 수의 외국인이 몰려올 도쿄올림픽을 대비하기에는 여전히 준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입국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출국하는 이도 늘어난다. 출국자를 위한 여행증명서를 발급하는 의료기관은 일본 전역에 500곳이 있지만, 이 중 외국인을 대응할 수 있는 곳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 때문에 일부 의료기관에 이 업무가 집중되고 있다.
도쿄에 위치한 한 메디컬센터에는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 약 100명의 네팔 국적의 사람들이 찾고 있고, 간사이지방에 위치한 한 병원에서는 중국인들의 검사 예약이 쇄도해 개인 검사 예약 접수를 중단하기도 했다. 외국인 입국을 허용한 현재도 일부 병원에 집중된 업무 과중형상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올림픽 개최로 수용해야 할 외국인 수가 늘어나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 |
▲ |
외국인도 비슷한 수준의 지원을 받는다.
와다 코우지 국제의료복지대학 교수는 "700명 이상 집단 감염이 발생한 여객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외국 국적의 코로나19 환자 342명을 치료하는 비용으로 2억8843만엔(약 30억6600만 원)이 들었고, 이 중 90% 이상을 일본 예산으로 처리했다"고 말했다.
도쿄올림픽 개최로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있을 경우 이같은 비용도 급격하게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일본 자민당은 방일외국인의 의료비 부담에 대한 정책 제정에 착수했다. 일정 소득 이상의 방일외국인에게는 후생노동성에서 최대 2만 엔의 자기부담을 징수할 수 있게하는 법안을 개정하고 있다. 또한 방일외국인에게 민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보험 가입 사실을 들어 '일정 소득 이상'으로 본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후생노동성 관계자는 "의료기관에서 외국인에 대한 절차가 복잡해 업무에 혼란이 올 수 있다"며 "또한 비용부담에 대한 걱정으로 검사를 받지 않다가 코로나19 재확산의 우려도 있다"고 우려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31년만에 차 뗀 '기아', 모빌리티 기업 변신 선언
‘텅텅’ 비는 인천공항 면세점…4차 재입찰 언제쯤
인기 시들한 공공재건축, 정부 사업 윤곽에 탄력 받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