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지는 발 뺀 공공재건축 참여
정부, 5만가구 공급계획 '삐걱'
시장 상황·서울시장 선거 변수
![]() |
▲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
[아시아타임즈=김성은 기자] 반응이 차가웠던 공공재건축의 사업성 윤곽이 나오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공공정비 통합지원센터(LH, SH, 한국부동산원)는 공공재건축 사전컨설팅에 참여한 7개 단지에 대한 컨설팅 분석 결과를 15일부터 조합에 회신한다고 밝혔다.
7개 단지는 신반포19차, 망우1구역, 중곡아파트, 신길13구역, 미성건영, 강변강서 등으로 나머지 1개 단지는 비공개를 요청했다. 정부는 사업 참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이들 단지를 대상으로 지난 9월부터 사전컨설팅을 실시했다.
7개 단지 모두 2종 일반주거는 3종 일반주거로, 3종 일반주거는 준주거로 종상향이 허용되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를 적용할 때 용적률은 현행 대비 평균 182%포인트(최대 258%포인트) 증가했으며, 조합 단독 재건축 계획 대비 평균 96%포인트(최대 201%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수는 현행 대비 58%, 조합 단독 재건축 계획 대비 평균 19%가 늘어났다. 이에 일반분양분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분담금은 평균 37% 감소했다. 7개 단지를 개별적으로 보면 각 11~74%까지 분담금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 |
▲ 공공재건축 사전컨설팅 분석 결과. (사진=국토교통부) |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