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유승열 기자] 금융권 주요 인사 자리에 다시 관피아(관료+마피아)들이 꿰차고 있다. 불과 한 달여 만에 재정경제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서 재직했던 경제관료, 정치인 출신 인물들이 금융협회 및 유관기관 수장 자리에 앉고 있다.
지난달 차기 손해보험협회장으로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은행연합회장은 김광수 전 농협금융 회장이 선출됐다. 생명보험협회장으로 정치인 출신인 정희수 보험연수원장이 내정됐다. 또 SGI서울보증 신임 사장으로는 유광열 전 금감원 수석부원장이 선임됐고 한국거래소 차기 이사장에는 손병두 전 금융위 부위원장이 낙점됐다.
여기에 공석인 농협금융 회장과 주택금융공사 사장 자리도 관피아가 자리할 것으로 관측된다.
관피아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과거 금융협회 및 유관기관 수장의 자리는 관피아, 모피아의 차지였다. 금융권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서로 교차했다. 전문성이 부족해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정부의 꼭두각시 노릇만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성과 현장 경험이 있는 민간출신들이 자리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고, 민간 출신들의 시대가 열렸다.
그러나 지금의 사정은 사뭇 다르다. 현재 주요 자리에 앉는 인사들은 관피아이긴 하지만 보은인사나 낙하산과 거리가 멀다. 각 금융협회장들도 회원사 들이 자발적으로 원해서 앉힌 인사들이다. 금융권 스스로가 관피아를 선택한 것이다.
이유는 자명하다. 금융권은 금융당국의 역차별적인 규제로 인해 핀테크 기업에 금융산업을 빼앗기고 있다. 금융사는 핀테크 기업에게 정보와 결제망을 제공하지만 신시장 진출이나 정보공유는 막혔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여론이 커졌지만,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인물은 없었다. 민간출신들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금융산업의 문제점에 대해 잘 알고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했다. 때문에 부당한 규제와 억압 속에 금융권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부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힘 있는' 인물이 필요해진 것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31년만에 차 뗀 '기아', 모빌리티 기업 변신 선언
‘텅텅’ 비는 인천공항 면세점…4차 재입찰 언제쯤
인기 시들한 공공재건축, 정부 사업 윤곽에 탄력 받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