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연합뉴스/AP) |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미국 대통령 당선이 유력한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재닛 옐런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을 차기 재무장관으로 지명하자 시장은 이를 환영하고 나섰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옐런 전 의장이 차기 미국 재무장관 자리에 오를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장은 향후 적극적인 재정 및 통화정책이 펼쳐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환호했다.
정부의 재정정책을 중시하는 ‘케인스학파’ 경제학자로 평가되는 옐런 전 의장은 지난 2014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으로부터 미 연준 의장에 지명됐다.
옐런 전 의장은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가 더 많은 예산을 쏟아 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든 전 부통령과 민주당의 정책에 적합한 인물로 바이든 전 부통령이 차기 재무장관을 발표하기 전 향후 자산가격을 더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은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됐다.
실제로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침체에 빠진 미국 경제를 살려내려면 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미국 투자회사 브라운어드바이저리의 톰 그라프 채권담당 총괄은 “옐런 전 의장은 재정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인물로 그의 효과적인 재정정책은 바이든 행정부를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시장도 한시름 놓는 분위기다. 만약 차기 재무장관에 경제학자 출신이 아닌 월가에 강경한 태도를 취하는 엘리자베스 워런 민주당 상원의원 등 정치인이 지명됐다면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금 정책 규제가 강화되며 금융시장은 크게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연준 의장으로 활동했던 만큼 정치적 이념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는 대신 경제적 효과나 부작용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을 내릴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 투자회사 아이언사이드매크로이코노믹스의 배리 냅 디렉터는 “재무장관이 누구냐에 따라 은행업에는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등)’ 태도를 취할 수 있다”며 “옐런 전 의장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두고 은행들의 자기자본 비율 확충을 강조하는 등 발언을 했지만 은행업에 썩 나쁜 인물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정치적 리스크는 아직 남았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자 상원과 하원 다수를 가져간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재정정책을 펼치려면 공화당 다수인 상원의 통과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제로 수준 기준금리를 계속 유지하고, 차기 재무장관으로 떠오른 옐런 전 의장이 재정정책을 강조한들 공화당 다수의 상원 통과라는 과제를 넘어야 하는 것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31년만에 차 뗀 '기아', 모빌리티 기업 변신 선언
‘텅텅’ 비는 인천공항 면세점…4차 재입찰 언제쯤
인기 시들한 공공재건축, 정부 사업 윤곽에 탄력 받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