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상승속도 대단히 빨라…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아시아타임즈=유승열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최근 주가 상승 속도가 과거보다 대단히 빠르다"며 "'빚투'(빚내서 투자)로 투자할 경우 가격 조정에 따라 감내하기 어려운 수준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뒤 연 인터넷 생중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코스피 급등을 버블(거품)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주가 동향과 지표를 봤을 때 최근의 상승 속도가 과거보다 대단히 빠르다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너무 과속하게 되면 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다"며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 예상치 못한 지정학적 리스크의 발생, 코로나19 백신 공급의 차질 등 충격이 발생하면 얼마든지 주가가 조정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투자자들에게는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반을 둔 투자 확대는 가격 조정이 있을 경우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의 손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당부했다.
그는 "주가 조정 가능성에 유의하고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며 "다만 어느 정도 자산 가격 조정이 일어나더라도 현재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복원력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급증한 가계부채에 대해선 "가계부채가 작년에 많이 늘어났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금리가 이전보다 낮아졌고 대출도 평균 만기가 이전보다 길어져 가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낮아졌다"며 "부실 위험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현시점에서 가계부채의 부실이 많이 늘어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재난지원금의 지급 방식에 대해 "현 상황에서는 선별 지원이 더 적절하다고 본다"며 "한정된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선별 지원의 이유는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어려운 계층에 지원하는 것이 오히려 (지원) 효과가 크고, 그 결과 경기 회복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