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김영봉 기자] 한진칼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임박한 가운데 한진그룹이 27일 “국가 기간산업인의 생존과 10만 일자리를 지켜내겠다”며 막판 여론전에 불을 붙였다.
![]() |
▲ 한진칼 최대주주인 KCGI 주주연합이 법원에 제기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신청 결과를 하루 앞두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산업은행과 한진그룹에 대한 공세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사진은 한진칼 최대주주 강성부 KCGI 대표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그래픽=아시아타임즈 |
한진그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진그룹은 대규모 정부의 정책자금이 수반되는 이번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무겁고 겸허히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룹은 “KCGI와 같은 투기·음해 세력의 방해에 흔들리지 않고 오롯이 국가 기간산업인 항공산업이 어떠한 생태계를 구축해 ‘생존’할 수 있을지, 이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후 세계 항공업계를 주도할 수 있을지에만 집중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10만여명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이번 통합 과정을 성실히 수행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진그룹은 그러면서 한진칼 최대주주인 KCGI를 정조준해 “KCGI가 지금까지 제시한 대안은 현실 가능성이 없다”고도 주장했다.
그룹은 “KCGI의 대안은 고작 사채발행, 주주배정 유상증자,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조달, 대한항공에 직접 유상증자 등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사채 발행은 원리금 상환 부담 규모와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2개월~3개월이 걸리는 시간적 한계와 KCGI가 야기한 경영권 분쟁 이슈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높게 주가가 형성 돼 필요자금 조달이 불분명하다”고 꼬집었다.
산은이 대한항공에 직접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유지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일축했다.
산은이 유상증자로 한진칼이 아닌 대한항공에 8000억원을 투입할 경우 한진칼은 대한항공의 2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공정거래법상 지주사 지분 조건인 20%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한진그룹은 강성부 KCGI 대표가 ‘항공업을 재편하기 위한 대안을 100가지도 넘게 만들 수 있다’는 발언을 꼬집으며 “자기 말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 지적 했다.
그룹은 “강성부 대표는 더 이상 말로만 대안이 있다고 주장하지 말고, 만들 수 있다던 100가지도 넘는 대안을 명확하게 제시하라”며 “항공산업에 무지한 사모펀드 대표인 강성부씨가 항공산업 전문가들과 정부·채권단이 2개월 넘도록 머리를 맞대고 내 놓은 이번 통합 방안을 능가하는 대안을 과연 내놓을 수 있을지 심히 궁금하다”고 역공했다.
한편 KCGI는 이날 한진그룹의 입장 보도가 나가자 “현재 구조에서 산업은행이 의결권 없는 우선주나 대출만으로도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가능하다”며 “이제라도 재판결과와 상관없이 딜 진행이 가능함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기자수첩] 전문가의 돌직구…금융 후진국이란 꼬리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연장…한계기업 폭탄 키운다
민병두 보험연수원장 취임…"연수원 경쟁력·위상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