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박지민 기자] 청년층을 중심으로 결혼하지 않고 함께사는 동거에 대한 거부감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지만, 정부는 동거 가구에 대한 사회안전망 마련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동거 가구의 규모 파악을 위한 통계조사는 물론 이들에 대한 법적지원 제도 마련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은데, 향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동거 가구에 대한 사회안정망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비혼 동거가족 2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부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을 못 받았거나 사회 서비스 이용에 한계를 느끼는 등의 차별을 경험이 있는 이가 114명(45.1%)에 달했다.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다양한 가족의 출산 및 양육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혼인이라는 단일 선택권이 아닌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며 "외국에 다양한 형태로 비호 동거가족을 보호하는 제도가 있듯이, 우리 사회의 동거에 대한 이해 정도와 문화적 배경에 적절한 제도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청년들의 동거에 대한 인식이 긍적적으로 변하면서 앞으로 '동거'도 최근 늘어나고 있는 '1인 가구'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주요 가구 형태로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반도체 왕좌의 게임④] 바이든이 삼성전자를 찾는 이유
“해운·철강·조선, 완연한 봄기운”…커지는 V자 부활 기대감
[뒤끝토크] 아파트 택배차량 진입금지에 막말까지⋯상처받는 택배기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