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임금 인상·정년 연장 등 요구
시중노임 단가 100% 적용…정부 임금 인상률 지침과 충돌
시민단체, 정부 문제해결 촉구
![]() |
▲ 전국철도노동조합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의 총파업 돌입 8일차인 18일 11시 청와대 앞에서 '코레일네트웍스 노동자 파업 문제 해결 촉구' 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전국공공운수노조) |
[아시아타임즈=김성은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의 노동조합 파업이 일주일을 넘긴 가운데 노사 협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18일 코레일네트웍스 노조의 파업이 8일차에 접어들면서 장기화되고 있다.
코레일네트웍스 노조는 임금 인상과 정년 보장 등을 요구하며 지난 11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날 오후 전국철도노동조합은 대전역 동광장 코레일 본사 앞에서 제2차 총파업 투쟁 승리 결의대회를 열고 사태 해결 촉구에 나섰다.
코레일네트웍스는 역무·여객·공항리무진·콜센터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코레일 자회사로 위탁업무를 비롯해 주차·특송 등 자체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노조는 시중노임 단가 100%를 적용한 수준의 임금인상과 근속이 반영된 임금체계로 개편, 정년 1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시중노임 단가를 기존에서 100%로 올리는 것이 4.3%로 제한된 정부 임금 인상률 지침에 막혀 사측은 곤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코레일과 코레일 노조의 협의에 따른 시중노임 단가 100% 적용이 코레일네트웍스 일부 파트에만 해당되는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임금 인상률이 제고가 되더라도 모든 파트에 적용하려면 재원이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18일 한국진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가 문제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코레일네트웍스는 전 직원 1819명 중 본사 업무직원직 125명만 정규직이고 나머지 93%는 무기계약직·기간제·계약직인 기형적인 구조"라며 "무기계약직과 기간제인 현업 노동자들은 대부분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임금과 고용불안정에 시달리는 자회사,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호소에 응답하지 않는 '노동존중 사회 실현'은 공허할 뿐"이라며 "책임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코레일과 코레일네트웍스에 대한 규탄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레일네트웍스 관계자는 "현재 정부와 노조에서 얘기하는 임금 인상률 등과 관련해 계속 협의를 하고 있다"며 "정부와 어느정도 얘기가 되면 노조와 협의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로 철도 고객이 줄어든 영향과 대체 인력 투입으로 승객들의 큰 불편은 없는 상태다. 사측은 전국 역 매표창구 운영을 48개에서 23개로, 광역전철역 근무 인력을 801명에서 277명으로 줄이고, 콜센터는 자동응답 전화(ARS)로 전환하며 파업에 대응하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