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로전광표지(VMS)를 활용한 지정차로 안내. (사진=한국도로공사) |
[아시아타임즈=김성은 기자]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통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운전자들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올바른 차로별 통행방법인 '지정차로제' 준수를 당부한다고 20일 밝혔다.
지정차로제는 도로의 주행차로를 왼쪽과 오른쪽으로만 구분하도록 지난 2018년 간소화됐다. 앞지르기 차로가 있는 고속도로에서는 1차로(제일 왼쪽)를 제외한 나머지 차로를 양분해 주행차로를 구분한다.
승용차와 승합차 등 소형·고속차량은 왼쪽 차로가 주행차로가 되고 버스(대형승합), 화물차, 특수차량, 건설기계 등 대형·저속차량은 오른쪽 차로로만 주행이 가능하다.
편도 2차로인 구간에서는 왼쪽·오른쪽 구분 없이 2차로가 모든 차량의 주행차로가 된다.
운전자들이 혼동하기 쉬운 '버스전용차로' 구간은 전용차로제가 시행중일 경우 2차로가 앞지르기 차로가 되고, 미시행 될 때는 버스전용차로인 1차로가 앞지르기 차로가 된다.
고속도로에서의 올바른 앞지르기 방법은 자신의 주행차로 바로 왼편 차로만을 이용해야 하고, 추월이 끝나면 기존 주행차로로 복귀해야 한다. 다만 터널·교량 등 차선변경 불가구간 제외된다.
편도 3차로 이상에서 오른쪽 차로가 주행차로인 차량(버스·화물차 등)은 앞지르기 차로로 진입이 불가능하며, 진입 시 지정차로 및 앞지르기 위반에 해당한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그림 표출이 가능한 도로전광표지(VMS), 차로제어기(LCS) 등을 활용해 운전자들이 직관적으로 지정차로를 확인하고, 안전하게 주행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계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