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윤진석 기자] 톰과 제리를 본 이들은 우유를 먹는 톰과 스파이크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고양이나 개에게 우유를 주는 것은 위험합니다. 개와 고양이는 유당불내증일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강아지의 대다수는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는 효소인 락테이스(락타아제)가 부족합니다. 이러한 강아지가 우유를 먹게 되면 설사나 구토를 하거나 복부에 가스가 차는 현상을 겪을 수 있지요.
이는 고양이도 마찬가지인데요, 고양이는 락테이스가 사람에 비해 부족해서 유당불내증일 확률이 매우 큽니다. 특히 어린 고양이일 경우 우유를 먹을 경우 유당불내증으로 탈수현상을 겪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단 유당, 즉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해 소화 불량이 일어날 뿐이지 우유가 개나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개나 고양이 중에서도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는 튼튼한 개나 고양이도 있긴 합니다. 우유 속 젖당, 유당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유당이 적은 치즈나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을 먹고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 치즈나 아이스크림, 요구르트의 경우 염분이나 당분이 많이 함유돼 있기 때문에 많이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개나 고양이가 먹을 수 있도록 처리된 펫밀크를 주는 것이 가장 좋겠죠.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반도체 왕좌의 게임④] 바이든이 삼성전자를 찾는 이유
“해운·철강·조선, 완연한 봄기운”…커지는 V자 부활 기대감
[뒤끝토크] 아파트 택배차량 진입금지에 막말까지⋯상처받는 택배기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