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한다고 해결될 일 아냐"
[아시아타임즈=김태훈 기자] 필리핀의 자국 일자리 지키기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업체들이 빠져나가고 있다.
25일(현지시간) 필리핀 경제매체 비즈니스월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자동차업체 혼다가 필리핀에서 생산 중단을 결정한 데 이어 최근에는 닛산이 필리핀에서 자동차를 더 이상 생산하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경영 합리화 과정에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다만 수입차는 필리핀에서 계속 판매할 예정인데 필리핀 현지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대신 수입에 의존하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떠나가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바라보며 필리핀의 자동차제조업 경쟁력이 정부의 정책 때문에 더 약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필리핀 정부는 자국 일자리를 지키겠다는 이유로 수입산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이달 초에는 200일 간 수입산 자동차 1대 당 7만 페소를 부과하기로 했다. 수입산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면 기업들이 필리핀에 공장을 지어 자동차를 생산할 것으로 기대한 것이다.
자동차업계는 정부의 관세 정책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필리핀은 그동안 자국 생산 비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전체 자동차 판매량에서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1990년대 중반 20% 수준에서 지금은 88%까지 올랐다.
자동차부품제조업체 회원사 수도 지난 2015년 128개에서 지난해 49개로 쪼그라들었다.
필리핀의 자동차제조업 경쟁력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조세 감면을 해주다가 갑자기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정부의 정책에 일관성이 없는 데다 지역 부품업체들의 경쟁력 부족이 꼽힌다. 또한 생산량 자체가 부족한 관계로 '규모의 경제(생산량이 많을수록 비용은 절감되는 현상)'를 누리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지난 2019년 기준 필리핀의 자동차 생산량은 8만7864대로 태국(215만 대)에 비해 턱없이 적었다.
자동차업계는 정부가 자동차 수입도 허용하면서 제조업 경쟁력을 키울 생각을 해야지 기업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동차 수입만 틀어막는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사실 태국도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을 제외한 외부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는 8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아세안의 자동차 강국’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롬멜 구티에레즈 필리핀 자동차생산자협회(CAMPI) 회장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경영 합리화 방안은 지역의 운영 경쟁력을 고려한 것”이라며 “현재 남아있는 지역 제조업체들은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정부의 더 많은 정책을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